언론의 역할은 국가의 여론을 형성하며, 정치를 견제하고 비판하는 것이다.
국민들은 언론사의 기사와 사설을 통해 정확하고 올바른 정보를 해석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된다.
이것이 국민이 정치에 참여하는 것이요,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인 것이다.
그러나, 언론기관에서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지 않게된다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사실이 아닌 정보를 근거로 정치적 판단을 하게 된다.
이러한 판단들이 모여 또 다른 결과로 봉착될 것이며, 국민들이 진정으로 원하는 결론에 이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언론은 윤리를 가지고 가짜정보가 아닌 진실에 대해 말해야 할 의무가 있다.
안타깝게도, 많은 언론들은 그러한 진실을 외면하고 사사로운 이익에 의하여 언론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었다.
특히, 언론의 최전방에 있는 조선일보는 창간이후로 수 많은 역사적 왜곡을 저질러왔다.
조선일보는 독립운동가인 윤봉길과 이봉창을 범인이라고 칭하며
우항총독 단/상해 폭탄 사건의 상황을 우항총독 관부라고 칭하는 역사적 과오를 범하게 되었다.
이뿐만 아니라 독재를 찬양하는 식의 기사를 쏟아내기도 했다.
‘인간 전두환’ 이라고 지칭하거나,
‘’사에 앞서 공, 나보다국가 앞에서 자신에게 엄격하고 책임 회피 안해‘ 라고 만행을 저지르기도 했다.
일제대변과 독재찬양에서 끝나면 좋았겠지만, 민주화 운동 오보 선동을 하기 시작했다.
’무장폭동‘ 이라는 기사의 내용은 모든 사람들을 선동할 수 있을 만큼 자극적인 내용이었다.
’계엄군은 일반이 상상했던 것보다 훨씬 극소하나 희생만으로 사태를 진정시키는 데 성공했다.‘ 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여가적 왜곡 및 유리한 입장 대변에도 역사적 왜곡을 바로잡는 행위는 하지 않았다.
’바로잡습니다‘ 라는 기사 칸을 만들기도 했지만, 작은 구역에 보기 어렵게 만들어 무의미한 행위가 되었다.
논란에도 불구하고 조선일보 경영진의 사생활 논란은 더욱 커져갔다.
방씨일가 사건 및 방정오 자녀 갑질 사건은 모두에게 공분을 살만했다.
이러한 다양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진실이 아닌 눈가리는 기사를 보도하고 있는 조선일보에 대해
국민들은 어떻게 반응해야 할까?
좀 더 진실에 다가가기 위해서는 좀 더 언론에 대해 이해하고 가짜뉴스에 대해 이해해야 한다.
가짜정보를 퍼뜨리는 조선일보에 대한 폐간을 주장하는 것이 우리가 나아갈 길이요,
올바른 시민으로서의 역할임에 틀림없다. 올바른 정치적 판단을 하는 국민으로서의 정치적 행위를 하기를 바란다.
'정기모임 작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03 장한결 회원 작품> 언론개혁, 조선일보 폐간 (0) | 2021.11.18 |
---|---|
<11.03 김근성 회원 작품> 기사 - 대구지역 대학생들, 국힘당 해체와 조선일보 폐간을 외치다 (0) | 2021.11.18 |
<11.03 이재명 회원 작품> 조선일보 폐간 (0) | 2021.11.18 |
<11.03 한진구 회원 작품> 언론 (0) | 2021.11.18 |
<11.17 장한결 회원 작품> 윤석열 (0) | 2021.11.18 |